Programing/Python

#데이터 타입과 컬렉션 - 1

CouqueD'asse 2022. 6. 13. 14:45

1장 기본 타입 및 변수의 이해

 

변수 :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

 

= 대입 연산자

오른쪽 수식이나 값을 계산 한 뒤, 왼쪽에 명시된 변수에 해당 값을 대입

a = 10 # int
b = 11.4 # float

 

주석

코드에서 #으로 시작하는 뒷 부분은 실행되지 않음

# 주석입니다.

a = 10
b = 11.4

 

함수

특정 기능을 반복적으로 호출하여 사용가능한 코드블럭

print 함수 : 해당 변구의 값을 출력 / , 로 여러 변수를 나열하면 한줄에 출력 / 기본적으로 한칸 띄어쓰기 후 출력

print(a, b)
print(a, 10, 200, b)
  • sep : 구분자, 각 출력할 변수 사이에서 구별하는 역할을 함
  • end : 마지막에 출력할 문자열
print(a, b, 10, 100, sep='*', end='!!')

print 함수 없이 변수 값을 코드의 마지막 위치 시킨 후 실행 : output으로 변수의 값이 출력

a = 10
b = 11.4
a
b

Out: 11.4

 

기본 데이터 타입

  • 정수 (int)
  • 실수 (float)
  • 문자열 (str)
  • 불리언 (boolean)

type 함수 : 해당 변수, 값의 타입을 알고자 할 때 사용

a = 10
b = 11.45
type(a)

Out: int

None

아무런 값을 갖지 않을 때 사용

일반적으로 변수가 초기값을 갖지 않게 하여 해당 변수를 생성할 때 사용

기타 언어의 NULL 과 같은 의미로 사용

c = None

 

== 비교 연산자

<, > (작다, 크다)

<=, >= (작거나 같다, 크거나 같다)

== (같다)

!= (같지 않다)

비교 연상자의 결과는 bool 타입

a = 5
b = 4
print(a == b)

False

변수의 값이 변경되기 위해서는 =를 사용하여 대입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해당